정신질환의 치료 방법은 약물치료·뇌자극술 등 생물의학적 치료와 정신치료(심리치료)로 나뉜다. 중등도 이상의 정신질환은 약물치료가 필수이지만, 정신치료와 같은 비약물 치료의 역할도 중요하다. 환자의 전반적 문제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정신치료 용어와 방법을 알아본다.
글 편집실 참고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정신치료·정신요법·심리치료란?
‘정신치료’란 환자의 전반적인 문제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면서, 정신질환과 관련하여 현재 부딪히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 방법을 말한다. 정신요법, 심리치료라고도 한다. 인지, 정서, 행동 등 여러 측면에서 사고·행동 패턴 수정, 자기 이해 증진 등에 목적을 둔 다양한 치료 기법이 있다. 각각의 기법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환자의 증상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한다. 대표적인 치료 기법은 다음과 같다.
인지행동 치료
인지적 오류와 잘못된 신념을 수정하고, 행동을 변화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 기법. 우울증, 불안장애, 중독,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 다양한 정신질환에 효과적이다.
대인관계 치료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 기술을 향상하는 치료 기법.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에 효과적이다.
정신분석 치료
무의식적인 갈등과 욕구를 분석하고, 자아를 강화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 기법. 신경증, 성격장애 등에 효과적이다.
명상치료
명상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하는 치료 기법. 불면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등에 효과적이다.
예술치료
예술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치료 기법. 우울증, 불안장애,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등에 효과적이다.
가족 치료
환자의 가족이 겪는 고통과 어려움을 상담하는 것이다. 가족 구성원의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환자를 지지하고 협조하는 환경을 만들어주어 치료 효과를 높이고 재발률을 줄인다. 또 증상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아 위험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집단 정신치료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대개 적은 수의 환자(보통 6~12명)와 치료자 한두 명이 참여한다. 자신의 말과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의 반응을 보면서 대인관계와 행동을 교정한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조건
치료 과정에서 환자와 치료사 간의 신뢰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환자의 참여와 의지
환자는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자신의 증상과 감정·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치료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받아들이며, 치료사의 지시에 협조하여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사의 전문성과 역량
치료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환자의 특성과 상황, 변화 과정에 맞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적용한다. 환자의 감정에 공감하고 이해하며, 환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안정적인 치료 환경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에서 환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의 개인정보와 사생활은 보호하고 비밀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꾸준한 치료 유지
치료기간은 환자의 증상과 상황에 따라 몇 개월에서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꾸준히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의 지지와 협조
가족들도 환자의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